Unity/John Lemon in Nightmareland

Unity Piscine Module06 - 8. Post Processing 적용

surkim 2024. 8. 27. 14:55

포스트 프로세싱(Post-Processing)은 게임에서 렌더링된 이미지에 추가적인 시각적 효과를 적용해, 더 생동감 있고 풍부한 화면을 만들어주는 기능이다. 여러 가지 효과를 통해 색감, 조명, 분위기 등을 조정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게임의 비주얼 퀄리티를 크게 향상시킬 수 있다.

배워보니 결국 어떤 설정이 어떤 효과를 주는지는 직접 여러 번 조정해보고 경험을 쌓아야 감을 잡을 수 있을 것 같다는 생각이 들었다. 그래서 처음에는 이것저것 만져보다가, 튜토리얼에서 추천하는 수치를 그대로 따라 해보기로 결정했다.

이번에 적용한 효과는 다섯 가지다. 각 효과의 기능과 조정할 수 있는 설정들을 간단히 정리해보겠다.

1. Color Grading

Color Grading은 게임의 전반적인 색상, 명암, 채도 등을 조정해 특정 분위기를 연출하는 효과다. 영화 같은 분위기를 만들거나, 특정 색감을 강조하고 싶을 때 유용하다.

  • Mode: 저해상도(LDR)와 고해상도(HDR) 모드 중 선택 가능.
  • Post-Exposure: 씬의 노출을 조정해 밝기를 변경한다.
  • Temperature, Tint: 색온도와 색조를 조정해 따뜻하거나 차가운 느낌을 더할 수 있다.
  • Hue Shift, Saturation, Contrast: 색상의 색조, 채도, 대비를 각각 조정해 색감의 변화를 준다.
  • Lift, Gamma, Gain: 어두운 부분(Lift), 중간 톤(Gamma), 밝은 부분(Gain)을 개별적으로 조정해 색상 균형을 맞춘다.

2. Bloom

Bloom은 화면의 밝은 부분에서 빛이 퍼져 나오는 효과를 주어, 더 따뜻하고 화려한 느낌을 연출한다. 조명이나 빛나는 오브젝트를 강조할 때 사용된다.

  • Intensity: Bloom의 강도를 조정해 빛의 퍼짐 정도를 결정한다.
  • Threshold: Bloom이 적용되는 최소 밝기 값을 설정한다.
  • Soft Knee: Threshold 값 주변에서 Bloom 효과가 부드럽게 적용되도록 한다.
  • Diffusion: Bloom 효과의 퍼짐 범위를 조정한다.
  • Color: Bloom의 색상을 변경해 다양한 분위기를 연출할 수 있다.
  • Dirt Texture: Bloom에 렌즈 먼지나 스크래치 효과를 더해주는 텍스처를 설정한다.

3. Ambient Occlusion

Ambient Occlusion은 오브젝트 사이의 틈새나 모서리 부분에 그림자를 추가해, 더 깊이감 있는 이미지를 만들어준다. 이 효과는 특히 오브젝트가 밀집된 곳에서 어두운 영역을 사실적으로 표현해준다.

  • Intensity: 그림자의 강도를 조정한다.
  • Radius: 그림자가 적용되는 반경을 조정한다.
  • Quality: 효과의 품질을 설정해 더 정밀한 그림자를 얻을 수 있다.
  • Ambient Only: 간접 조명에만 Ambient Occlusion을 적용하는 옵션이다.

4. Vignette

Vignette는 화면 가장자리에 어두운 음영을 추가해, 시선이 화면 중심으로 집중되도록 도와준다. 영화나 사진에서 자주 사용되는 기법이다.

  • Mode: 비넷 효과의 모양을 설정한다.
  • Color: 비넷의 색상을 설정할 수 있다.
  • Center: 비넷의 중심점을 조정해 효과의 위치를 설정한다.
  • Intensity: 비넷의 강도를 설정해 가장자리를 얼마나 어둡게 할지 결정한다.
  • Smoothness: 비넷의 경계가 얼마나 부드럽게 나타날지 설정한다.

5. Lens Distortion

Lens Distortion은 화면을 왜곡시켜, 카메라 렌즈를 통해 보이는 듯한 왜곡 효과를 만든다. 초현실적인 장면이나 독특한 시각 효과를 연출할 때 사용된다.

  • Intensity: 왜곡의 강도를 조정한다.
  • X Multiplier, Y Multiplier: X축과 Y축으로 왜곡 강도를 개별적으로 설정한다.
  • Center: 왜곡 효과의 중심점을 설정한다.
  • Scale: 화면의 크기를 조정해 왜곡 효과로 인해 발생하는 잘림을 방지한다.

 

0
Post Processing 적용 후

결론

이번에 적용한 다섯 가지 포스트 프로세싱 효과는 게임의 비주얼을 크게 향상시켜준다. Color Grading을 통해 전체 색감을 조정하고, Bloom으로 빛을 강조하며, Ambient Occlusion으로 깊이감을 더했다. Vignette로 화면 중심에 집중시켜주고, Lens Distortion으로 독특한 시각적 효과를 추가했다. 경험을 쌓으면서 각 효과의 미세한 조정으로 원하는 분위기를 만들어가는 것이 중요하다고 느꼈다.